솔솔

[AWS] MFA (Multi-Factor Authentication) 적용 하기 본문

나의보물들/AWS

[AWS] MFA (Multi-Factor Authentication) 적용 하기

솔솔하네 2024. 12. 31. 14:22
반응형

🍀 MFA (Multi-Factor Authentication)란?


 사용자가 시스템에 접근하거나 인증을 받을 때, 두 가지 이상의 서로 다른 인증 요소를 사용하여 보안을 강화하는 인증 방식.

이를 통해 단순한 ID와 비밀번호만 사용하는 것보다 보안성을 크게 높일 수 있음.

 

 즉, 단일 인증 방식에 비해 해킹이나 정보 유출에 대한 위험을 줄일 수 있어서 비밀번호가 유출되더라도 추가 인증 요소가 필요하므로 계정 탈취를 방지 할 수 있음. 특히 AWS 계정 탈취 되면 요금 폭탄을 맞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음으로 꼭 이중으로 인증하도록 설정하는게 중요한 것 같음.

 

🍀 MFA 적용 하기


1. 로그인 후 상단 오른쪽의 메뉴 클릭 후 [보안 자격 증명] 메뉴를 클릭 한다.

 

2. 상단에 [MFA 할당] 버튼을 클릭 한다.

 

3. 디바이스 이름을 넣어주고 디바이스 옵션을 선택 후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.

  * 저는 인증자 관리앱으로 선택해서 진행함

패스키 또는 보안키 (Passkey or Security Key) 인증자 관리 앱
(Authenticator App)
하드웨어 TOTP 토큰
(Hardware TOTP Token)
패스키 보안키
  • AWS 또는 서비스에서 QR 코드를 생성.
  • 인증자 앱(Google Authenticator 등)으로 QR 코드를 스캔하여 계정 등록.
  • 앱에서 생성된 6자리 인증 코드를 입력하여 인증 완료
  • AWS 또는 서비스에서 하드웨어 토큰을 등록.
  • 장치에서 생성된 6자리 OTP를 입력하여 인증 완료.
  • 생체 인증(지문, 얼굴 인식)을 통해 인증.
  • 기기에 저장된 암호화 키를 사용하여 비밀번호 없이 로그인.
  • USB 포트에 삽입하거나 NFC/Bluetooth로 연결.
  • 버튼을 눌러 인증 완료.

 

4. [QR 코드 표시]를 클릭한다.

 

 

5. 크롬에 설치 된 '인증 도구'를 열어서 해당 버튼을 클릭 후 AWS 화면에 표시 된 QR을 스캔한다. 

 *스캔이 잘 되지않는 경우에는 4번의 [보안 키 보기]클릭 후 아래 이미지의 연필 그림을 클릭하고 수동으로 입력하면 됨

인증도구 확장 프로그램 설치 URL 

 

 

6. 인증 도구에 새로운 인증 코드란이 생기는데 해당 인증코드를 3번란 MFA코드 1, MFA코드 2에 입력 후 하단의 [MFA추가] 버튼을 클릭한다.

 

7. MFA 등록이 완료된 것을 학인 할 수 있음.

 

 

8. MFA 등록이 완료가 되었다면 재로그인 시 아이디 비밀번호 인증 후 2차 인증이 들어가는 것을 볼 수 있음.